본문 바로가기
솔향강릉 PINE CITY Gangneung
오죽헌·시립 박물관
Ojukheon & Municipal Museum
HOME
SITEMAP
메뉴열기
소장품 검색
사이트맵
강릉시청 주요메뉴
오죽헌·시립박물관
인사말
조직 및 업무
주요업무
연혁
오죽헌 연혁
시립박물관연혁
문화재기증
기증안내
기증내역
이용안내
관람안내
문화해설안내
패키지 관람권 이용안내
한복체험관 안내
전시안내
상설전시
특별전시
스마트 박물관 체험 관람서비스
찾아오시는길
대관령박물관
인사말
박물관 설립배경
대관령박물관 연혁
시설안내
전시안내
관람안내
박물관 안내도
백호방
현무방
토기방
청룡방
우리방
주작방
야외전시장
소장유물보기
전체보기
선사문화
토기
자기
금속유물
불교문화
서화
민속문화
석물
찾아오시는길
교육/행사
교육안내
박물관강좌
어사화 학교
전통문화 교원직무연수
공무원강좌
행사안내
대현율곡이선생제
한송정들차회
학술정보
발간자료
학술대회
정보마당
새소식
포토갤러리
자료실
자주하는질문
솔향명품SHOP
둘러보기
오죽헌·시립박물관
대관령박물관
소장품 검색
메뉴 닫기
강릉시 컨텐츠 페이지 보조메뉴
발간자료
학술대회
학술대회
홈
학술정보
학술대회
영동문화창달을 위한
학
술
대회
영동문화창달을 위한 사진 이미지 제공
제28회
영동지역 인문자산의 가치
2021.11.10.
영동지역 고문헌 현황과 활용 방안(정지연)
강릉지역 폐사지의 문화자원적 가치(김진한)
조선시대 江布에 관한 연구 (조상준)
율곡학의 글로컬 전망과 아카이브 구축 연구(유성선)
디지털 인문학의 관점에서 본 국문학(김윤정)
도시 社火의 각도에서 본 <南都繁會圖>의 가치(안상복)
제27회
코로나로 인한 자유주제
2020.10.26.
마쓰모토세이초와 한국(한기련)
바타이유와 에로티즘(이선우)
번역본 '오만과 편견'에 나타난 번역의 문제(손남익)
루쉰(魯迅) '새로 엮은 옛이야기 故事新論' 해석에 관한 일고찰(구문규)
강릉문학의 로컬리티 재현 양상(이미림)
‘강릉 선비문화 탐방길’ 조성과 활용방안(박영주)
제26회
강릉 인문학 연구의
수렴과 확장
2019.10.26
대학 교양 교육의 새로운 방법론
세계 인문학의 수용과 융합
공존과 치유의 서사
초연결시대의 인문학
인문도시 프로젝트의 현황과 전망
강릉 지역인문유산의 재조명
제25회
강릉 인문학 연구
성과와 전망
2018.11.14
강릉의 언어문화(김무림)
강릉문학 연구 성과와 전망(양문규)
강릉 지역사 연구 성과와 전망(임호민)
강릉 전통사상 연구 성과와 전망(박도식)
제24회
도시인문학의
쟁점과 전망
2017.11.08
도시-기호의 해석, 그리고 거주의 시학(김동윤)
강릉과 이스트 코우커 : 윤후명과 T.S.엘리엇(김경화)
근세 지역공동체 축제와 도시 그리고 사람들(안상복)
도시와 인문학(조태동)
강릉 인문도시 사업현황과 과제(박영주)
제23회
글로컬리즘의
인문학적 성찰
2016.11.09
글로컬 시대의 인문학 연구 방향(이재성)
지방사 연구의 한 방법으로서 로컬리티 연구(차철욱)
글로컬리즘의 관점에서 본 수성노인 형상 유래와 동아시아적 전개(안상복)
제22회
21세기 인문학의
구상과 활로 「공공인문학」
2015.11.04
공공인문학의 현재와 전망(송원찬)
대중인문학의 비판과 공공인문학(최재식)
역사소비시대 공공인문학의 향로(김정인)
제21회
영동문화창달과
문화생태올림픽
2014.11.26
상태주의와 다문화주의로 본 영동문학과 올림픽손님맞이 - 강릉 출신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이미림)
문화올림픽과 지방사 읽기 – 17세기 강릉 정부자 영정과 영정 · 서원 사체 논의(이규대)
괴테의 '파우스트'에서 생태주의와 평창동계올림픽(안진태)
제20회
문화올림픽으로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
2013.11.26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준비현황'에 관하여(김학철)
평화사의 관점에서 본 올림픽(이동기)
동아시아 전통으로부터 문화올림픽의 비전 모색(안상복)
문화축제로서의 동계올림픽의 신화적 상징과 방향(장영란)
제19회
지역문화 창달을 위한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만남
2012.11.21
한국근대소설의 세 가지 연구 동향(양문규)
자연과학에 근거한 수치예보(이규태)
고고학에서의 과학적 논증 절차의 문제(이성주)
기름, 너의 정체는 무엇인고?(경영수)
자연과학에 의해 심화된 형이상학의 정체성 위기 문제(이현모)
미생물의 세계-그들의 소통과 생존 전략(김규중)
제18회
동해권역 지방문화의
어제와 오늘
2011.11.23
조선후기-한 말 정선지역의 사회변화(김대길)
향토 민요 아리랑의 장르별 국면과 특성에 관한 논의(강등학)
율곡의 사회인식으로 담론한 소통/개혁 연구(유성선)
제17회
영동문화의
현장성 탐구
2009.10.28
21C와 신명문화(김백현)
대립관계의 지명어 고찰(김기설)
강릉방언의 동명사어미에 대하여(박성종)
제16회
고대 영동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탐구
2008.10.29
예. 맥의 분포양상과 그 이해(박준형)
고대 영동지역 토착세력의 갈래와 존재형태(문안식)
물질문화를 통해 본 고대 영동의 문화적 정체성과 그 변천(이성주)
제15회
강릉지역의
전통문화 활동
2007.10.24
고려시대 몽고침략과 영동 지역민의 피난입보에 대하여(유재춘)
강릉과 체육 · 스포츠문화에 대한 이해(김용근)
향교의 평생교육적 의미 연구(전일균)
제14회
관동팔경,
문학에 반영된 인간 삶과 경관
2006.10.25
관동팔경 누정기에 투영된 사유와 정서(박영주)
소상팔경과 제화시(최일의)
[관동별곡]의 자연에 담긴 탈정치적 무의식(윤효녕)
제13회
허난설헌의
삶과 문학세계
2005.10.26
허난설헌의 생애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권리(허경진)
허난설헌의 시집살이를 통해본 여성의 삶(정경숙)
허난설헌 문학의 다양한 모습과 평가(박현규)
제12회
영동인물탐구
신사임당의 삶과 예술세계
2004.11.3
신사임당의 삶과 모성의 의미(박양자)
신사임당의 예술세계(이영애)
신사임당의 한시산책(정항교) 신사임당은 현모양처인가(이순구)
제11회
영동인물탐구
허균의 사상과 문학
2003.10.29
허균의 학풍과 정치이념(정호훈)
허균시에 투영된 사유와 정서의 분방성(박영주)
[홍길동전]을 창작한 이유(설성경)
속수사고전서총목제요 · 중 허균 문헌 해제에 관한 분석(박현규)
제10회
영동지역 문화연구의
새로운 방향
2001.11.14
[향악잡영]과 산대놀이의 전통(안상복)
관동팔경과 누정문학 유산(박영주)
강릉지역 설화의 여성형상(정병헌)
강릉학의 개념과 범위(장정룡)
제9회
영동의 민속과 문화에
대한 재조명
2000.11.8
향토민요아리랑의 존재양상과 장르적 동향(강등학)
18세기 관동 삼공의 폐해(배재홍)
익명성에 관한 철학적(현상학적) 고찰(최재식)
강릉의 매김말 문향 · 예향고(정항교)
제8회
전통 제의와
지방문화의 정체성
1999.11.10
강릉국사성황제와 그 주도세력의 변천(이규대)
고성 삼일포 매향비와 침향(정항교)
헤카테의 신화-신화와 몰락(안진태)
제7회
영동문화의
현재적 조명
1998.11.14
강릉시병산동유적의 발굴조사약보고(백홍기)
환동해문화론(임동권)
율곡의 사단칠정론(서용화)
제6회
영동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1997.11.4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의 발굴 · 육성방안(장정룡)
영동 소재 근 · 고시조의 제양상(이동철)
강원특별자치도 지역의 불보살신앙(정병조)
중국고대 임종시에 관하여(김만원)
브레히트 소외이론과 비아리스토텔레스적 극장(이혜경)
제5회
영동지역 연행문화의
전통과 오늘의 맥락
1996.10.23
강원특별자치도 민요의 정황과 지역적 양상(강등학)
양중 연행문화의 전통과 전망(황루시)
영동지역 민속놀이의 특질과 계승(김의숙)
강릉지역 전통 공연예술의 오늘(신대철)
영동지방 호설화에 나타난 호랑의 성격과 전승집단의 의식(정호희)
제4회
영동지역
무형문화의 특징
1995.10.24
강릉지방 유학보급에 있어서의 금란반월회의 역할(박양자)
이승휴의 생애와 제왕운기(차장섭)
영동 산간지역의 채취습속(장정룡)
강릉지방 분청사기의 일고찰(홍순욱)
제3회
영동문화의
어제와 오늘
1994.10.26
동해안 풍어제의 유형과 그 사적 맥락(강등학)
영동지역 시문학의 사적 흐름(엄창섭)
조선후기 영동 양반가의 사노비 연구(정경숙)
율곡 이이의 유학시고(정항교)
제2회
강릉 · 명주
지역의 문화
1993.10.27
[관동별곡]의 시적 형상성(박영주)
명주지역의 고건축(정재국)
영동방언의 음운상 특질(김무림)
영동지방 불교의 사회적 실태(이규대)
한송정 다구고(정항교)
제1회
영동의
전통문화를 찾아서
1992.11.11
동해안의 마을신앙과 설화(장정룡)
영동지역 논매는소리의 장르체계와 오독떼기의 장르형성(강등학)
강릉지방 서원의 설립배경과 그 유학적 성격(박양자)
강원 영동지방의 무문토기문화-속초 조양동유적울 중심으로(백홍기)